본문 바로가기
취업준비 Tip

[9급 공무원 8개월 합격수기] 3. 국어 공부법(90점)

by 작은 육각형 2023. 8. 14.

[9급 공무원 8개월 합격수기] 1. 서론(합격 인증, 동기)

[9급 공무원 8개월 합격수기] 2. 준비과정(인터넷 강의, 합격수기)

 

 위의 링크를 통해 이전에 작성한 주제에 대한 합격수기를 둘러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글부터는 가장 핵심적인 9급 공무원 시험 과목에 대한 과목별 공부법과 커리큘럼에 대해 말씀드릴 예정입니다. 제가 국가직 9급 공무원 시험에 응시할 당시에는 필수과목(국어, 영어, 한국사)와 선택과목 체제였기 때문에, 저는 선택과목으로 행정법과 사회를 응시하였습니다. 현재 사회과목은 선택과목이 폐지되며 배제되었기 때문에 이를 제외한 9급 공무원 과목인 국어, 영어, 한국사, 행정법 등 네 과목에 대한 공부법과 과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가장 먼저 국어 과목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목차

·전체 커리큘럼 개관

·국어 커리큘럽 및 공부법(90점)

 

 

·전체 커리큘럼 개관

 위 표는 제가 8개월여의 공무원 수험 생활동안 사용했던 장기 스터디플래너입니다. 위 플래너를 통해서 전반적인 과목에 대한 공부법과 커리큘럽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형식의 플래너는 수험생활에 매우 큰 도움이 되었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에 글을 작성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국어 커리큘럼 및 공부법(90점)

 국어는 전반적으로 공단기의 이선재 강사님의 커리큘럼을 탔습니다.

 8월부터 3개월간 이선재 강사님의 기본 개념강의를 수강하며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올인원 개념강의와 함께 한자 강의인 오랜 방황의 끝도 병행하려 했지만 제가 심각한 한자 까막눈이었기 때문에, 강의에 큰 부담을 느꼈고 한자는 찍기로 결심하고 몇 강의 만에 포기했습니다.

 올인원을 철저하게 복습한 후에는 이선재 강사님의 기출실록 문제집을 풀었습니다. 사실 기본개념강의를 2개월 안에 끝내기로 계획한 것과 달리 3개월이 걸려 시간에 촉박함을 느꼈기 때문에, 기출 과정에서는 해설지를 보고도 이해가 가지 않는 문제를 제외하고는 강의를 따로 듣진 않았습니다.

 저는 기출 문제집을 풀 때, 한 단원을 풀기 전 기본개념교재를 통해 그 단원을 복습하고 기출 문제를 푸는 방식으로 공부했는데 이 방법이 실력을 늘리는 데 큰 도움이 됐던 것 같습니다. (ex. 기본개념 1단원 복습  기출실록 1단원  기본개념 2단원 복습  기출실록 2단원...) 그리고 기출문제를 풀 때, 반드시 전날에 풀었던 문제 중 틀리거나 맞았지만 의문이 있었던 문제들을 꼭 다시 풀었습니다.

 

 이후에는 이선재 강사님의 압축·마무리  강의를 통해 다시 한 번 전 범위를 반복했는데 이 과정이 정말 큰 도움이 됐습니다. 압축·마무리  강의를 통해서는 전체 범위를 다시 공부할 수 있다는 장점뿐만 아니라 컴팩트하게 압축된 교재로 더 빠르게 여러 번 회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마무리 강의와 함께 공단기의 고혜원 강사님의 신의 한수 한자편을 통해 한자를 다시 공부했습니다.

 이전까지만 해도 한자 문제를 포기하려고 했지만 한자 문제와 사자성어 문제가 하나씩 나올 경우 10점을 포기해야 한다는 생각에 불안감을 느꼈고, 고혜원 강사님의 한자 강의를 수강하며 큰 효과를 봤습니다.

 한자 부분의 경우, 무조건적인 암기가 아닌, 부수에 대한 응용과 기본 한자를 기점으로 한 파생 한자를 공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비교적 공부량에서 큰 부담을 느끼진 않았습니다.

 시험기간을 한 달 정도 남긴 시점부터는 이선재 강사님의 나침반 모의고사를 풀기 시작했습니다. 모의고사를 풀 때는 틀린 문제를 그냥 넘기 않고 반드시 기본개념교재나 압축·마무리 교재를 뒤져가며 틀린 부분을 보완했습니다.

 그리고 동시에 기출실록 문법편을 다시 한번 풀며 문법을 다졌습니다.

 실전에서 독해 영역은 뚜렷한 공식이 있다기보다는 독해 문제를 짧은 시간 안에 타이트하게 풀면서 감을 올리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문법의 경우에는 실전에서 조금의 망설임 없이 기계적으로 문제를 풀어야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 두 과정으로 국어는 시험 준비를 마무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