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투자

[경제] 중국발 경제위기? 중국 경제 상황 정리(컨트리가든, 헝다, 부동산, 디플레이션, 실업률)

by 작은 육각형 2023. 8. 18.

 최근 들어 국제사회 및 경제 부문에서 중국의 경제 상황이 심상치 않다는 의견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중국의 부동산 위기, 디플레이션, 실업률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초대형 부동산 악재

2. 디플레이션

3. 실업률(청년실업)

 

 

1. 초대형 부동산 악재

  중국 경제에 있어서 부동산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중국의 부동산 부문의 자산은 1경 8000조 원으로, 중국 가계자산의 60%를 부동산이 차지합니다. 최근 이러한 중국 부동산에 균열이 생기고 있습니다.

 

-컨트리가든(비구이위안)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

 그 첫번째는 바로 초대형 부동산 기업 컨트리가든(비구이위안)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입니다.

중국 부동산 개발 기업 컨트리가든

 컨트리가든(비구이위안)은 헝다, 완커 그룹과 함께 중국의 3대 부동산 건설사로 군림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7~2022년 기간 동안 중국 부동산 시장 매출 1위를 석권하며, 그 위상을 떨쳤는데요. 컨트리가든에 직접 소속된 직원만 7만 명 이상, 긴밀한 협력업체만 3만 3000여개 이상으로, 중국 경제에 매우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컨트리가든이 최근 회사채(부채)의 이자를 상환하지 못하며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에 처했습니다. 지난 8월 6일, 액면가 10억 달러(한화 1조 3천억원 이상) 회사채에 대한 이자 2250만 달러(약 330억원)을 상환하지 못한 것입니다.

 컨트리가든은 이자 미상황 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이자를 상환하지 못하면, 디폴트(채무불이행) 상태가 공식화되기 때문에 많은 우려가 향하고 있습니다.

컨트리가든 주가 변동(6개월)

 이러한 채무이행능력의 위기에 따라,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컨트리가든의 주식 역시 6개월 만에 -71%이상 하락하며 위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헝다그룹 파산

 이러한 컨트리가든의 디폴트 위기가 수면 위로 떠오른지 채 10일이 지날 무렵, 8월 17일 중국의 또다른 초대형 부동산 기업인 헝다 그룹파산보호를 신청했습니다. 미국 뉴욕 팬허튼 파산법원에 파산보호법 15조*에 따른 파산보호를 신청한 것입니다.

외국계 기업이 다른 나라에서 구조조정을 하는 동안 미국 내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진행하는, 국제적인 지급 불능상태를 다루는 파산 절차

 

 

헝다그룹(차이나 에버 그란데)

 이미 헝다그룹은 지난 2020~2021년 파산 위기에 처한 사건을 겪었습니다. 2020년, 부동산 개발업에 대한 중국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로, 문어발식 사업 확장과 개발로 과도한 레버리지를 지고 있던 헝다그룹이 자금난에 빠졌던 사건입니다.

 

 

2. 디플레이션

 또한 8월 9일 발표된 중국의 CPI(소비자물가지수), PPI(생산자물가지수)디플레이션을 가르키며 경기침체의 위험을 내포하였습니다.

최근 5년간 중국 CPI(소비자물가지수) - 출처: 인베스팅닷컴
최근 5년간 중국 PPI(생산자물가지수) - 출처: 인베스팅닷컴

 CPI(소비자물가지수)의 경우 2년 반 만에 처음으로 전년대비 하락하며,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물가 수준이 하락하고 있음을 두드러지게 보여줍니다. CPI(소비자물가지수)의 선행지표 격인 PPI(생산자물가지수)는 이미 2022년 10월 PPI(생산자물가지수) 이후로 10개월 째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디플레이션의 징후는 글로벌 수요 둔화, 중국 내수 부진, 부동산 침체 등 구조적인 문제들이 겹쳐 발생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합니다. 또한 코로나의 리오프닝 효과로 경기가 활성화될 것이라는 기대에 찬물을 끼얹으며, 불안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최근 중국 정부는 부양책을 지속적으로 고려하고 있으나,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심각한 지방 정부의 부채 문제가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3. 실업률(청년실업)

최근 2년간 중국 실업 - 출처: 인베스팅닷컴

 

최근 2년간 미국 실업 - 출처: 인베스팅닷컴

 또한 실업률 역시 중국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2022년부터 3% 대 실업률에 안착한 한 미국과 달리 중국은 여전히 에 고민을 안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체 실업률보다 더욱 중국 경제를 위태롭게 하는 것은 바로 청년실업 문제입니다.

 

 지난 7월 중국 국가통계국에서 발표한 중국의 청년실업률은 무려 21%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중국 당국의 통계 산출 방식을 고려했을 때, 실질적인 실업률은 46%에 다랄 것으로 보기도 합니다. 

 

 심지어 우려가 증폭됐던 7월의 경제지표에 대해서는 중국 국가통계국이 '"경제·사회 발전에 따른 노동 통계 최적화"라는 이유로 청년실업률 등 연령대별 실업률 조사 발표 자체를 중단하였습니다. 이는 중국의 실제 경제 상황이 매우 심각하다는 것을 방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