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투자 공부] ETF, ETN을 통한 투자의 장점
이전 글들을 통해서 ETF와 ETN을 소개드리며, ETF와 ETN을 활용한 투자의 특징과 장단점 등을 다루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ETF 중에서도, 적은 투자자금으로 몇 배 이상의 변동성을 만들어내는 레버리지 ETF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레버레지 ETF
2. 레버리지 ETF의 장점
3. 레버리지 ETF의 단점
1. 레버레지 ETF
레버리지(Leverage)란 지렛대를 의미합니다. 지렛대의 원리를 통해 더 큰 무게를 들어올리듯, 투자자금의 규모를 늘리는 방식을 비유하는 것인데요.
레버리지 ETF는 상품에 투자된 돈으로 주식을 산 뒤, 그 주식을 담보로 돈을 빌려 투자 규모를 키우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레버리지 ETF는 주로 일일 수익률의 2배를 추종하는 2배 레버리지, 3배를 추종하는 3배 레버리지 등이 있습니다.
2. 레버리지 ETF의 장점
1) 레버리지 효과: 투자자금 극대화 금융기관의 대출 등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투자자금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1배수 상품의 일일수익률을 n배로 추종하기 때문에, 당연 1배수 상품이 수익을 거둘 경우 n배의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가령, 1배수 상품이 10% 상승할 경우, 레버리지 ETF는 약 30% 상승합니다.
2) 제한적인 손실: 레버리지 효과를 사용하는 선물, 옵션 등과 달리 손실이 제한적입니다. 선물, 옵션 등은 미수금을 반대매매가 발생할 경우, 원금을 모두 상실함은 물론 원금 이상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레버리지 ETF는 아무리 손실이 크더라도, 원금을 초과하는 손실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3. 레버리지 ETF의 단점
1) 큰 변동성: 원론적인 부분이지만, 1배수 상품이 하락할 경우, 레버리지 ETF는 n배의 손실을 가지게 됩니다. 심지어 운용보수와 수수료 등을 고려할 경우, n배수 그 이상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횡보에 취약: 또한 레버리지 ETF는 1배수 상품이 횡보하거나, 횡보하며 상승할 때도 손실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레버리지 ETF가 추종하는 수익률의 기준이 일일수익률이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흔히 음의 복리효과로도 설명할 수 있습니다. 1배수 상품은 횡보시 비교적 손실을 적게 유지할 수 있으나, 레버리지가 커질 경우, 그 손실이 크게 증가합니다.
3) 높은 운용보수(수수료): 또한 레버리지 ETF는 투자금에 대한 담보와 대출 등이 추가된 금융 상품이기 때문에 기존의 1배수 ETF에 비해 운용보수가 높은 편입니다.
'재테크&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투자] 경제에도 사계절이 있다?! 경제성장, 물가 상에 따라 유리 투자 자산(feat. 레이 달리오) (0) | 2023.08.20 |
---|---|
[경제] 중국발 경제위기? 중국 경제 상황 정리(컨트리가든, 헝다, 부동산, 디플레이션, 실업률) (0) | 2023.08.18 |
[재테크&투자] ETF를 통해 다양한 2차전지 주식에 투자하기(국내 2차전지 ETF 수익률 TOP 5) (0) | 2023.08.17 |
[재테크&투자 공부] ETF, ETN을 통한 투자의 장점 (0) | 2023.08.14 |
[재테크&투자] ETF를 통해 미국 주가 지수에 투자하기(나스닥) (0) | 2023.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