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과 일본에서는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반면 중국에서는 디플레이션(물가 하락)이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또한 긴축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고용은 매우 뜨거운 반면, 중국은 높은 실업률을 기록하며 저성장에 빠진 복합적인 상황입니다...!
이러한 물가(인플레이션/디플레이션), 경제성장(고성장/저성장)에 따라 경제에도 사계절이 있다는 걸 아시나요?!
그리고 경제의 사계절마다 상승하는 투자 자산군(ex. 주식, 채권, 원자재 등등)이 매우 다르다고 합니다 :)
이번 글에서는 바로 이 경제의 사계절과 계절마다 강한 투자 자산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경제의 사계절
2. 계절에 따라 상승하는 투자 자산
1. 경제의 사계절
미국의 전설적인 투자 구루(Guru)이 세계 최대 헤지펀드인 브릿지워터 어소시에이츠(Bridgewater Associates)의 설립자인 레이 달리오(레이먼드 달리오, Raymond Dalio)는 물가와 경제성장에 따라 경제에도 계절이 존재한다고 말하였습니다.
그는 고물가와 저물가, 고성장과 저성장의 조합을 통하여 경제에 경제의 계절을 네 가지로 구분하였습니다.
경제의 사계절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위와 같습니다. 경기가 둔화되는 동시에 물가도 내려 앉는 저성장+저물가, 경기가 둔화되는 반면 물가는 상승하는 저성장+고물가, 경기가 좋은 동시에 물가는 안정적인 고성장+저물가, 경기가 과열되며 함께 고성장+고물가로 구분한 것입니다.
2. 계절에 따라 상승하는 투자 자산
레이 달리오는 위와 같이 경제의 계절을 네 가지 시나리오로 가정하며, 각 계절마다 유리한 투자 자산을 선정하고 조합여, 헤지펀드 전반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였습니다. 바로 이것이 유명한 레이달리오의 사계절 포트폴리오(All weather Portfolio)입니다.
바로 이 사계절 포트폴리오의 기초가 되는 경제 계절 별 유리한 자산군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저성장+저물가 상황에 유리한 자산: 금, 선진국 국채, 현금
저성장+고물가 상황에 유리한 자산: 원자재(금, 원유 등), 개발도상국 채권, 물가연동국채, 현금
고성장+저물가 상황에 유리한 자산: 선진국 주식, 선진국 부동산, 선진국 국채, 선진국 회사채
고성장+고물가 상황에 유리한 자산: 개발도상국 주식, 국제 부동산, 원자재(금,원유 등), 개발도상국 채권, 물가연동국채
'재테크&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미국 금리를 결정하는 FED(연준), FOMC?! 바로 알아보기! (0) | 2023.08.24 |
---|---|
[재테크&투자] 엔비디아의 신고가 갱신?! 그 이유와 배경에 대하여(AI 인공지능, 실적 발표) (0) | 2023.08.24 |
[경제] 중국발 경제위기? 중국 경제 상황 정리(컨트리가든, 헝다, 부동산, 디플레이션, 실업률) (0) | 2023.08.18 |
[재테크&투자] 레버리지 ETF의 원리와 장단점 (0) | 2023.08.18 |
[재테크&투자] ETF를 통해 다양한 2차전지 주식에 투자하기(국내 2차전지 ETF 수익률 TOP 5) (0) | 2023.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