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중국발 경제위기? 중국 경제 상황 정리(컨트리가든, 헝다, 부동산, 디플레이션, 실업률)
이전 글에서 중국의 경제위기에 대해 이야기를 드렸습니다. 위 글에서는 헝다 파산과 컨트리가든의 디폴트 위기 등 부동산 문제, 중국의 디플레이션과 심각한 청년실업 등을 다뤘는데요!
여전히 중국의 경제에 대한 불안과 의구심은 사글어들지 않는 듯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중국 경제의 위기 혹은 하락에 투자를 할 수 있는 중국 증시에 대한 인버스 ETF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인버스 ETF란
2. 중국 인버스 ETF 상품(국내)
3. 중국 인버스 ETF 상품(미국)
1. 인버스 ETF란
[재테크&투자]ETF(상장지수펀드)와 ETN(상장지수증권)에 대해 알아보기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ETF를 통해 미국 주가 지수에 투자하기(나스닥)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레버리지 ETF의 원리와 장단점
이전에도 위의 글들을 통하여 ETF와 ETN의 원리와 특징에 대해 설명드린 바 있습니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 간략히 요약드리자면, ETF와 ETN은 공통적으로 특정 지수의 수익률을 추종하는 인덱스 상품입니다. 즉, 삼성전자, LG엔솔, SK하이닉스 등 개별주식이 아닌, 코스피 전체에 투자하는 개념의 상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또 한가지 주목해야할 ETF의 특징으로는, 투자대상을 상당히 다양화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대표 지수뿐만 아니라, 금과 은, 원유, 천연가스 등을 비롯한 원자재, 그리고 달러, 엔화, 유로 등 외환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번 글에서는 인버스 상품을 통해 지수와 자산의 하락에 대한 투자까지 가능하다는 특징에 주목해야 합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중국 증시가 하락할 때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중국 인버스 ETF 상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중국 인버스 ETF 상품(국내)
국내에 상장된 중국 인버스 ETF로는 다음과 같은 상품이 있습니다.
(1) TIGER 차이나CSI300 인버스
·발행사: 미래에셋자산운용
·요약: CSI300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여, 일간수익률의 음의 1배수를 연동
*CSI300 지수: 상하이증권거래소와 선전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상위 300개 주식의 성과를 추종하는 지수 |
·총보수(수수료): 연 0.58%
(2) KOSEF 차이나A50커넥트인버스MSCI
·발행사: 키움투자자산운용
·요약: MSCI China A50 Connect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여, 일간수익률의 음의 1배수를 연동
*MSCI China A50 Connect 지수: 상하이증권거래소와 선전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 중 상위 50개 기업의 성과를 추종 |
·총보수(수수료): 연 0.35%
(3) KBSTAR 차이나H선물인버스
·발행사: KB자산운용
·요약: 홍콩선물거래소에 상장된 HSCEI선물지수*를 기초지수로 하여, 일간수익률의 음의 1배수를 연동
*HSCEI선물지수*: Hang Seng Index(홍콩 항생지수)에서 발표하는 지수로 홍콩선물거래소에 상장된 HSCEI선물을 추종 |
·총보수(수수료): 연 0.591%
3. 중국 인버스 ETF 상품(미국)
다음으로는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인버스 ETF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미국 증시에 상장된 대표적인 중국 인버스 ETF로는 -3배 레버리지 상품인 YANG/Direxion Daily FTSE China Bear 3X ETF이 있습니다. 즉, 기초지수인 중국 증시가 10%하락 한다면, 30%를 상승하는 변동성이 큰 상품입니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YANG/Direxion Daily FTSE China Bear 3X ETF
·발행사: Direxion Funds
·요약: FTSE China A50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여, 일간수익률의 음의 3배수를 연동
*FTSE China A50 지수: 상하이증권거래소와 선전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상위 50개 주식의 성과를 추종하는 지수 |
·총보수(수수료): 연 1.08%
'재테크&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중국에 이어 흔들리는 독일 경제...?! 유럽 경제의 중심, 독일의 경제위기 (0) | 2023.08.30 |
---|---|
[경제] CPI(소비자물가지수) 알아보기! (feat. 인플레이션) (0) | 2023.08.29 |
[경제] 미국 금리를 결정하는 FED(연준), FOMC?! 바로 알아보기! (0) | 2023.08.24 |
[재테크&투자] 엔비디아의 신고가 갱신?! 그 이유와 배경에 대하여(AI 인공지능, 실적 발표) (0) | 2023.08.24 |
[재테크&투자] 경제에도 사계절이 있다?! 경제성장, 물가 상에 따라 유리 투자 자산(feat. 레이 달리오) (0) | 2023.08.20 |